직업성 암
"직업성 암"이란 직업적으로 발암물질에 노출되거나, 뚜렷한 발암물질을 확인하지는 못하였지만
특정 직업군이나 산업에서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정의됩니다.
직업성 암의 특징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노출기와의 차이)한다.
일반적인 암의 호발 연령보다 젊은 연령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발암성 물질의 작용을 받는 부위(표적 장기)에서 암이 발생한다.
원인물질에 처음 노출된 시점에서 암 발생까지 일정한 기간(잠복기)이 필요하다.
*혈액암을 제외하고 첫 노출로부터 최소 10년 이상 경과하여야 한다.
일반 인구집단에 비교 시, 직업성 발암물질에 노출되는 집단에서 특정 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이 높다.
대표적인 직업성 암
폐암 |
악성중피종 |
---|---|
백혈병 |
다발성 골수종 |
피부암 |
방광암 |
간암 |
유방암 |
직업성 암 종류별 직업성 발암물질
암 |
직업성 발암물질 |
---|---|
폐암 |
석면, 6가 크롬 및 그 화합물, 니켈 화합물, 콜타르 피치, |
비강·부비동암 |
6가 크롬 또는 그 화합물, 니켈 화합물, 목재 분진 |
비인두암 |
목재 분진, 포름알데히드 |
악성중피종, 후두암, 난소암 |
석면 |
피부암 |
검댕, 콜타르, 정제되지 않은 광물유, 비소 또는 그 무기 화합물 |
방광암 |
비소 또는 그 무기 화합물, 스프레이 도장업무, 벤지디느 베타나프틸아민 |
백혈병 |
벤젠, 포름알데히드, 1.3-부타디엔, 산화에틸렌(림프구성 백혈병) |
다발성골수종 |
벤젠 |
간암 |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염화비닐 |
간혈관육종 |
염화비닐 |
침샘암, 식도암, 위암, 대장암, 폐암, 뼈암, 피부암, 유방암, 신장암, |
엑스선 또는 감마선 |
직업성 암 종류별 직업성 발암물질
직업적 유해요인
상병확인
잠복기 충족
대 표 승 인 사 례 한 눈 에 보 기
<탄광부 폐암 산재 승인>
- 근무경력 : 약 10년
<환경미화원(가로청소부) 폐암 산재 승인>
- 근무경력 : 약 11년
더 많은 성공 사례가 궁금하시다면